서울대학교

2016. 4. 14. 11:45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1. 영화를 보고 비과학적으로 보이는 fact5가지를 적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우선 치명성에 비해 감염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 보인다.

영화에서 보면 치사율도 굉장히 높고, 또한 굉장히 빠른 시일 내에 환자가 사망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이렇게 감염자가 빠르게 죽어버리면 전염이 되기 전에 숙주가 죽어버리므로 전염이 쉽지 않다. 이러한 점이 비과학적으로 보였다.

 

 

또한 감염성에 비해 그것을 차단하는 도구가 매우 빈약해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도구들이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 같았다. 연구실이 아닌 감염자들이 격리된 공간 씬에서 연구원들이 감염자들 사이로 다닐 때 그들이 취한 방편은 마스크 한 장이다. 마스크 한 장 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이 전부였지만 그들은 감염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이 현실성을 약간 떨어뜨리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원숭이실험 결과를 가지고 바로 인체에 적용한 것도 문제가 되어 보인다. 실제로 인간과 포유류는 비슷하면서도 큰 반응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러한 점을 생략하고 원숭이실험의 성공결과만을 가지고 바로 인체에 적용한 것은 비과학적이라 할 수 있겠다.

 

백신에 관해 부작용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것도 위험해 보인다. 실제로 악역으로 그려지는 블로거의 말도 일리가 있게 들렸다. 아무런 부작용 검사 없이 그저 급한 불만 끄기 위해 부작용의 위험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백신을 바로 생산 및 공급하는 것은 큰 위험이 있어 보인다.

 

 

백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생산과 공급이 비현실적이었다. 만약 영화가 현실에 기반을 두었고, 실제로 그러한 속도의 대응이 가능하다면 아마 백신이 개발된 모든 전염병으로 인한 피해는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 영화에서 나온 증상 들을 미루어 볼 때,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어떤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일 가능성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그리고 그 이유는?

 

영화에 나온 증상과 경과를 미루어 봤을 때 H1N1과 비슷해 보인다. 독감의 증상으로 감기와 비슷한 기침, 인후통, 콧물, 등이 영화에 등장했으며 두통, , 오한, 38.5도 이상의 고열이라는 점에서 우선 인플루엔자의 일종일 것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전세계에서 유행한 점과 빠른 전염성이라는 특징에서 유행당시 전체인구 16억명 중 약 6억 명 가량이 감염된 스페인독감의 H1N1으로 결론지었다.

 

 

 

3. 2012년도에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에서 조류독감에 의한 사망이 발표되었다. 2012년도 조류독감 병원체와 비교하여, 영화 속에 나오는 원인균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공통점은 치사율이 높아 감염 시 굉장히 치명적이라는 점이다.

 2012년도 조류독감의 경우 중국에서는 40건의 감염자가 발생해 26명이 사망, 베트남에서는 119명의 감염자가 발생해 59명이 사망, 인도네시아에서는 174명이 감염되어 144명이 사망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치명적인 결과는 영화에 등장하는 MEV-1과 매우 유사해 보였다. 차이점은 전염성을 들 수 있다.

 

 

 

 2012년 조류독감의 경우는 영화에서처럼 전세계에 퍼져 대유행하는 범유행전염병까지는 아니었다.

그러나 영화에서 등장하는 MEV-1은 정말 무시무시한 속도로 전염이 진행되어 Day 1이후로 단 몇 일만에 전세계에서 유행하게 되었다. 조류독감의 경우 감염자가 만지고 간 컵을 만지기만 해도 전염되며 감염경로도 매우 다양해 공기로도 감염이 되는 것으로 보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