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
서울대학교 영성체 예식 2
예수가 자신을 희생하고 스스로 성체가 되어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는 이유는 일치를 위하여 즉, 함께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예수의 첫째 계명인 사랑을 실천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수 안에 모든 이가 한 형제로써 서로 돕고 적극적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영성체 예식을 통해 천주교 신자들이 얻는 가르침이다. 초대 교회에서는 세례성사의 마지막에 첫영성체를 했다. 중세에는 성숙성 문제로 유아의 영성체가 금지되었다. 1215년, 4차 라떼란 공의회에서는 이성을 쓸 수 있는 어린이에게 첫 고해성사와 함께 첫영성체를 할 수 있도록 결정하였다. 그러나 얀세니즘 등의 영향으로 실행되지 못하다가, 20세기 초에 와서야 비오 10세 교황에 의해 주창되어 실시되었다. 보통 ..
2016.04.20 -
서울대학교 영성체 예식 1
0. 들어가며 이 글에서는 세계의 많은 종교들 중 천주교의 의례의 하나인 영성체 예식에 관하여 다루어볼 것이다. 영성체 예식은 천주교에서 신께 드리는 제사인 ‘미사’ 중에 사제가 축성한 빵과 포도주를 미사에 참석한 신자들과 나누어먹는 행위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미사의 전체 과정에 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 그 안에서 영성체가 갖는 의미를 알아보려 한다. 또한, 천주교 신자로서 일정한 자격을 얻어서 비로소 예식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인 첫영성체에 대하여도 알아보고, 직접 경험해본 입장에서의 감상도 서술해볼 것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예식 자체와 행위를 소개하려 노력하였으나, 예식의 각 절차가 갖는 의미와 종교적 용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천주교의 입장에서 쓴 책들을 주로 참고하여 기술하였고 ..
2016.04.20 -
서울대학교 유교 제례 2
2. 제례에 대한 감상 이번에 제례를 조사하려고 마음먹은 계기에는 유교의 종교성에 대한 의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평소에 유교에 대해서는 그것이 종교라기보다는 학문이나 사회, 문화적 구조나 체계에 더 가깝다고 생각했고, 그러면서 마음 한구석에는 왜 이것이 ‘유교(儒敎)’ 즉 종교로 불리우는지 의문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아마도 이런 생각의 바탕에는 서양식 종교관에 익숙한 사고방식이 깊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전지전능한 유일신을 모시고, 또는 많이 양보하여 여러 신을 모신다 해도 그들이 세상을 창조하고 주관하는 식의내용과 체계를 가진 것을 종교라 부르는 게 더 알맞다고 생각되었고 유교는 이와는 거리가 멀어보였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유교적 의식인 제례에 대해서도 그..
2016.04.20 -
서울대학교 유교 제례 1
1. 유교 제례의 의미와 구조 1-1. 유교 제례의 의미와 기능 「예기」에는 사람의 다스리는 도에는 ‘예’보다 급한 것이 없으며, ‘예’에는 다섯가지 기준이 있는데, ‘제사’보다 중요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즉 ‘예’는 유교의 중요 키워드인데, 여기서 특히 졔례가 예의 실천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파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유교에서의 제례는 모든 ‘신’ 존재에 드려지는 것으로, 그 안에는 궁극존재인 ‘천(天)’을 비롯하여, 지(地), 산(山), 림(林) 등의 자연사물, 선현 , 군왕 그리고 작게는 각 가정의 조상까지가 모두 포함된다. 「중용」에서는 “귀신의 덕은 성대하도다. 보아도 볼 수 없고, 들어도 들을 수 없지만, 만물의 본체가 되어 빠뜨릴 수 없으며, 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재..
2016.04.20 -
서울대학교 라마단과 한식 1
1. 라마단과 한식의 소개 라마단은 이슬람교의 대표적인 명절이다. 라마단은 이슬람력에서의 9월 한 달 동안 진행되며, 9월을 예언자 무함마드가 대천사 가브리엘에게 계시를 받은 신성한 달로 기념해 이 기간 동안 해가 뜰 때부터 해가 질 때까지 물이나 음식을 섭취할 수 없다. 한식(寒食)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는데,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진(晉) 문공(文公)을 섬겼던 충신인 개자추가 죽자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해 사람들이 찬밥을 먹는 풍속이 한식(寒食)이라는 명절로 자리 잡았다고 하는 일화이다. 물론 라마단의 경우는 한 달 동안 해가 뜬 동안에는 아예 금식(禁食)을 하는 것이고, 한식의 경우에는 단 하루 동안만 불을 사용하지 않은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니 이 두 명절에게서 공통점을 찾..
2016.04.19 -
서울대학교 세종입 우리나라의 초례 2
(혼례에서의 초례)초례청(醮禮廳)이라고 하는 용어를 보면 결혼식 자체가 하나의 초례행사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신랑과 신부가 서로 절하며 술을 주고받는 의미도 알고 보면 천지신명에게 그들의 행복을 비는 종교적 성격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 된다. 인생의 새출발을 경건하게 축복하는 의례에서 초례상 앞에 술을 사용하는 것은 서로가 술을 교환하는 의미라기보다는 천지신명에게 인생의 새출발을 축원하는 종교적 의례로서의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3. 정리와 감상 초제, 소격서라는 단어는 국사를 배운 본인에게는 이미 친숙한 단어였고, 국사를 배우지 않은 사람이라도 도교행사라는 막연한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런 수박 겉핡기식 지식은 초례라는 행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심지어는 왜곡..
2016.04.18